주제별로 8개 그룹 | 기관 : 23개 | 교수 : 30여명 | 대학원생 : 40여명 |
---|---|---|---|
각 그룹은 독립적으로 운영되지만, 또한 그룹 간의 연계 활동을 수행 중이온가속기 사업단은 이미 많은 해외 기관과 국제협력 MOU를 맺고 협력 장치를 마련한 상황 본 과제를 통해 협력 기관 수를 늘리고, 활용 분야의 긴밀한 협력 추진 |
중이온가속기 시설을 이용한 실험 수행을 통해 KOBRA 활용 전문인력 양성 및 국제 경쟁력 있는 활용 연구 발굴
저에너지 핵물리 분야에서의 KOBRA 활용 전문인력 양성 및 활용 분야 국제 경쟁력 확보 방안 마련
해외 중이온가속기 시설을 이용한 실험의 수행을 통해, 향후 KOBRA를 이용하여 연구 가능한 핵반응 메카니즘 및 측정법 개발
대학원생, 박사후연구원 등의 신진 연구 인력의 해외 기관 파견을 통한 연구인력 육성 및 확대
해외 중이온가속기 시설을 이용한 실험 수행을 통해 LAMPS 활용 전문인력 양성 및 국제 경쟁력 있는 활용연구 발굴
고에너지 핵물리 분야에서의 LAMPS 활용 전문인력 양성 및 활용 분야 국제경쟁력 확보 방안 마련
해외 중이온가속기 시설을 이용한 실험의 수행을 통해, 향후 LAMPS를 이용한 핵물질의 대칭에너지, 상전이, 핵반응 연구 관련 국제 경쟁력 확보
대학원생, 박사후연구원 등의 신진 연구 인력의 해외 기관 파견을 통한 연구인력 육성 및 확대
첨단 검출기 제작 계획 마련
국제 협력을 통해 MR-TOF 개발 및 이를 이용한 희귀동위원소 특성 연구 및 전문인력 육성
RAON에 설치될 MR-TOF 희귀동위원소 질량 측정 기술 확보 및 운용관련 전문인력 육성
KEK-KISS 그룹과의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MR-TOF 개발, 구축, 활용 실험 수행
MR-TOF 실험에 대학원생, 박사 후 과정 인력을 파견하여 추후 RAON MR-TOF 활용에 필요한 연구인력 육성 및 확대
국제 협력을 통해 가속된 동위원소를 대상으로 레이저 분광 (CLS) 측정 연구를 수행하여, 향후 RAON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
RAON에 적용될 레이저 분광 측정 기술 확보 및 CLS 운용관련
해외 중이온 가속기 시설을 이용하여 가속기에서 발생한 희귀동위원소를 대상으로 collinear laser spectroscopy (CLS) 실험 수행
CLS 활용 관련 미래 연구 주제 발굴
RAON에 물성연구시설로 구축될 μSR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해외 뮤온 시설을 활용하여 자성체, 초전도체 등 다양한 물성분야에서 실험을 수행 우수한 신진 연구 인력을 양성
해외 μSR 대형연구시설을 활용하여 물성분야의 전문 연구인력 양성 및 μSR 활용분야 국제 경쟁력 확보
해외 대형 뮤온 연구소와 국제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원생, 박사후 연구원을 파견하여 연구인력 육성 및 확대 - 해외가속기 연구소와의 교류협력 방안 수립
μSR 활용 관련 미래 연구 주제 발굴
해외 중성자 활용 시설을 이용해 핵자료 측정 실험을 수행하여 RAON의 NDPS 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 육성
중성자 이용을 통한 핵자료 측정과 관련 기술 개발, NDPS 활용 분야 국제 경쟁력 확보 방안
해외 중성자 시설들을 이용하여 (n, xn), (n, f), (n, γ)등 중성자 유발 핵반응 측정 실험 수행
해외 중성자 활용 시설에 대학원생, 박사후 연구원을 파견
NDPS 활용 관련 미래 연구 주제 발굴
해외 중이온 연구 시설을 이용해 실험을 수행하여 RAON의 BIS 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를 육성하고 암 치료 및 육종 연구에 적합한 BIS 장치 설치 및 운용 체제 구축 지원
중성자 이용한 암 치료 및 육종 연구 관련 기술 개발, BIS 활용 분야의 국제 경쟁력 확보 방안
해외 중이온 시설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암치료법, 육종 등의 실험 수향
해외 중성자 활용 시설에 대학원생, 박사후 연구원을 파견
BIS 활용 관련 미래 연구 주제 발굴
중이온 가속기를 활용한 실험의 해석을 위한 관련 이론 전문 인력 양성 및 중이온 가속기를 활용한 선도적 연구를 위한 관련 이론 개발 및 심화
중이온 가속기에서 수행되는 실험들의 결과물 해석 및 새로운 실험 제안을 위한 이론 개발 및 전문 인력 양성